분류 전체보기
-
체육교수의 이해: 학습경험의 선정기준과 교수기능교과교수법(체육) 2020. 3. 21. 14:05
체육교수의 이해 1. 교수(teaching)의 중요성 교수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관점에 따라 수업을 바라보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교사가 교수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가르치는 행위가 달라진다.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책임은 교사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학적 목적, 학습자에 관한 지식, 수업내용, 교수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경험을 계획하여 지도해야 합니다: PCK(수업지식/내용교수지식)의 중요성 2. 수업은 뚜렷한 학습목표와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교수학습이란, 교사와 학생의 의도된 활동이며, 학습목표달성에 필요한 학습환경을 조성한다는 의미입니다. 교사는 적절한 학습목표에 적합한 교수학습과정을 수업에 선택 및 적용할 수 있어야 합..
-
장애인을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동정 아닌 평등특수체육 2020. 3. 19. 10:23
우리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어떤 환경에 있어서도 교육의 기회는 균등하게 주어져야 합니다. 우리보다 교육적인 면, 생활여건이 앞서가고 있는 선진국에서는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을 위한 교육도 이미 오래전부터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이로써 장애인들도 자신이 개발 가능한 모든 분야를 개선하고 연구하여 각 분야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특수체육은 88 서울 패럴림픽 이후부터 많은 관심을 보여왔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정규대학과정에서 특수체육을 교과목으로 운영하고, 전공학과를 개설하였습니다. 교육에 앞서 장애인들을 바라보는 시각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한 관계를 알아봅시다. 장애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먼저 '장애인'과 '정상..
-
우리나라 본격적인 장애인스포츠의 출발: 88서울장애인올림픽특수체육 2020. 3. 17. 15:36
PARALYMPICS(장애인 올림픽)는 하반신 마비를 뜻하는 PARAPLOGIA의 접두어 PARA와 OLYMPICS의 어미 LYMPICS의 합성어입니다. 한국은 1968년 이스라엘 텔 아비브에서 개최된 제3회 장애인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올림픽은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981년 9월 30일 독일의 바덴바덴에서 한국이 제24회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된 이후, 국제 장애인 스포츠 조정위원회(ICC)와 국제 척수 장애인 경기연맹(ISMGF)의 장애인 올림픽 동시 개최 요구에 따라 88 서울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 동반 개최를 결정하면서 한국에 장애인 올림픽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습니다. 88 서울 올림픽이 있기 이전에는 일반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이 무관하게 따로 ..
-
블로그의 시작, 소개(4학년 1학기)카테고리 없음 2020. 3. 15. 17:44
안녕하세요. '교육학'과 '체육학 전공'을 공부하는 신지냥입니다. 내일이면 제가 다니는 경희대학교가 개강을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개강이 2주나 연기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개강 이후 2주 동안은 수업이 온라인 강의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직접 강의실에 가서 강의를 듣는 것은 30일부터라고 공지되어 있지만, 사실 코로나19의 상황을 추후에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학교에는 수많은 학생들이 모이는 곳이므로 안일하게 생각했다가는 전염병이 크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가 얼른 잠잠해져서 모두 마스크를 벗고 학교를 다니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이번 학기 제 시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적을 위한 공부가 아닌 지식 습득을 위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4학년이 된 지금에서야 좀 더 뼈저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