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체육
-
휠체어농구에 대해 알아보자!특수체육 2020. 6. 2. 00:00
오늘의 주제는 휠체어 농구입니다. 휠체어 농구는 장애인스포츠에서 인기가 아주 좋은 종목입니다. 일반적으로 비장애인 올림픽에서 폐막식 직전에 대개 축구 결승전을 하고, 마라톤 주자가 들어오는 장면이 연출되고는 하는데, 패럴림픽에서는 마지막 날에 대개 휠체어농구를 합니다. 종목마다 휠체어는 그 종목의 맞도록 특색있게 제작됩니다. 휠체어농구의 휠체어의 앞부분은 둥그런 모양인데, 이를 범퍼(보호구)라고 하고, 이 범퍼 안 쪽에 발 부분이 들어가 다리(무릎)를 보호합니다. 범퍼는 상대방과 경기를 하다 충돌이 있을 때 상해를 방지합니다. 양쪽의 큰 바퀴의 모양이 기울어져 있는데, 이것은 휠체어의 안정성을 위한 것과 바퀴를 돌리는 양손이 상대방과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바퀴가 기울어지지 않고, 1..
-
시각장애인 전문 스포츠: 골볼특수체육 2020. 5. 27. 13:14
지난 시간에 보치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았고, 오늘은 골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두 가지 종목 모두 장애인만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뇌성마비를 위한 보치아, 시각장애인을 위한 골볼! 골볼은 1946년 실명한 퇴역군인들의 재활을 위해 고안된 장애인스포츠로, 소리가 나는 공을 이용하여 상대팀 골대에 공을 넣는 경기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골볼은 시각장애인 전문 스포츠입니다. 시각장애에는 저시력을 포함한 약시, 준맹, 맹 등의 시각장애 정도에 따른 분류를 할 수 있는데, 골볼에서는 이 시각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모두 다 함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가능할까요? 골볼의 참여하는 선수들은 장애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 눈가리개를 철저히 붙이고 그 위에 두툼한 안대를 착용하고 게임에 임합니다. 공은 농구공..
-
보치아 등급 분류특수체육 2020. 5. 18. 12:24
오늘은 보치아의 등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지난 시간 보치아 경기에 대해 배웠던 것을 복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시간 복습★★★ ‘보치아’는 이탈리아어로 ‘공’을 뜻합니다. 보치아는 크게 뇌성마비가 아주 심한 등급들이 경사로를 이용하는 경기형태와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여 손으로 던져서 경기를 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대1, 2대2, 단체 경기가 있습니다. 굴림대 경기를 하는 데 ‘보조자’는 경기장을 보면 안 되고, 선수의 지시에 따라서만 굴림대를 움직여야 합니다. 보치아는 등급에 따라 경기를 합니다. 보치아 공 색깔은 빨간색, 파란색 각 6개씩이 있고, 흰색의 ‘잭’이라는 표적구가 있습니다. 경기 중 우리 팀이 아주 불리한 상황이라면 표적구를 아웃사이드로 쳐 내서 표적구의..
-
뇌성마비의 전문종목 보치아의 경기방법과 기술특수체육 2020. 5. 13. 15:29
장애인만을 위해서 특별히 고안된 스포츠에는 보치아와 골볼이 있습니다. 보치아는 뇌성마비를 위한 전문 종목이고, 골볼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문 종목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보치아는 뇌성마비 뿐만 아니라 뇌성마비와 유사한 신경계통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도 일부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보치아는 흰색 공 하나(표적구) 빨간색 공 6개, 하늘색 공 6개를 가지고 경기를 합니다. 1대1로 하기도 하고 2대2, 3대3으로도 경기할 수 있습니다. 흰색공인 표적구를 향해서 누가 더 표적구와 가깝게 공을 굴리는가 하는 경기입니다. 심판은 마치 탁구라켓처럼 생긴 것으로 한 엔드가 끝날 때마다 어느 쪽이 이겼다고 표시를 합니다. 하얀색 공에 어느 쪽 팀이 몇 개를 앞섰는지 기록을 하여 종합점수를 따져 승패를 냅니다. 이..
-
뇌성마비에 대해 알아보자: 운동패턴과 침범범위에 따른 분류특수체육 2020. 5. 12. 13:24
오늘은 뇌성마비란 무엇인지와 운동패턴과 침범범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교육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성마비(cerebral palsy) 뇌성마비는 뇌병변장애(brain lesions)에 속하며, 이는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체적 장애입니다. 뇌성마비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대부분 뇌 발달 기형인 경우와 발달 과정에 있는 뇌가 신경학적 손상을 받은 경우입니다. 임신 중, 출산 시, 출산 후의 병력과 임상 양상의 경우 자기공명 영상(MRI)을 종합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 뇌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면 선천성 뇌 기형이 발생해 뇌성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척수장애의 상해 부위에 따른 분류 그리고 운동기능특수체육 2020. 4. 22. 21:57
오늘은 척수장애와 상해 부위에 따라 분류를 해보고 각각의 운동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의 일부이며 몸과 뇌 사이의 중추적인 정보 소통 경로입니다. 척수는 들어오는 정보를 통합하여 직접 명령을 내보내는 척수반사(spinal reflex) 조절을 합니다. 성인의 척수는 뇌의 아래(기저) 부위에서 시작하여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허리뼈(lumbar vertebra;요추골)까지 이어집니다. 그 아래는 말의 꼬리털 모양의 신경다발 묶음인 마미상 신경총(cauda equina)으로 끝까지 이어집니다. ▼ 척추 목뼈(경추) 가슴뼈(흉추) 허리뼈(요추) 엉치뼈 꼬리뼈 ▼ 척수신경 목신경 가슴신경 허리신경 엉치신경 꼬리신경 전체 척수는 31개의 분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분절은 ..
-
지체장애의 원인과 분류 그리고 올바른 배려특수체육 2020. 4. 20. 21:31
오늘은 지체장애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에게 올바른 배려란 무엇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체장애 지체장애의 정의 지체장애는 손, 발과 몸의 일부나 전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기능의 이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절단, 척수장애(spinal cord injuries), 뇌성마비(cerebral palsy) 등이 주로 많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골격, 근육, 신경계통에 질환이 생기거나 손상, 마비, 기능장애 등이 생겨서 신체의 이동과 움직임 등이 불편하거나 제한을 받게 됩니다. 지체장애는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 모두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지체장애를 선천적인 것이라는 잘못된 편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체장애인의 90%는 선천적 장애가 아닌 후천적 장애입니다. 즉 지체장애인의 대부..
-
시각장애인에 관한 오해 그리고 이들을 위한 배려와 에티켓특수체육 2020. 4. 13. 21:12
오늘은 시각장애인에 대한 오해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애인들을 위한다며 하는 행동들이 때로는 오히려 장애인들에게 무례하고 불편한 행동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죠! “시각장애인은 대부분 시력이 전혀 없는 전맹일 것이다.” 전국의 등록 시각장애인은 약 25만 명. 그중 21만 명은 저시력장애인입니다. 즉 시각장애인 10명 중 8명은 앞이 전혀 보이지 않는 전맹이 아니고, 시력이 떨어지는 저시력장애인인 것입니다. 겹쳐보이는 '복시', 중심은 잘 보이나 주변은 잘 보지 못하는 '주변시야장애', 나이가 들면서 시력이 흐려지는 '약시' 등 저시력에는 다양한 유형이 포함됩니다. “시각장애인은 모두 점자를 알고 있다.”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 전체시각장애인 중 점자해독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