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체장애의 원인과 분류 그리고 올바른 배려특수체육 2020. 4. 20. 21:31
오늘은 지체장애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에게 올바른 배려란 무엇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체장애
지체장애의 정의
지체장애는 손, 발과 몸의 일부나 전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기능의 이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절단, 척수장애(spinal cord injuries), 뇌성마비(cerebral palsy) 등이 주로 많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골격, 근육, 신경계통에 질환이 생기거나 손상, 마비, 기능장애 등이 생겨서 신체의 이동과 움직임 등이 불편하거나 제한을 받게 됩니다.
지체장애는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 모두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지체장애를 선천적인 것이라는 잘못된 편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체장애인의 90%는 선천적 장애가 아닌 후천적 장애입니다. 즉 지체장애인의 대부분은 사고나 질환으로 장애를 갖게 됩니다. 어떤 의미에서 지체장애는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갈면서 갖게 되는 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지체장애의 분류
지체장애는 발생원인과 상해 부위에 따라 절단, 척수장애, 뇌성마비, 근 질환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에 따른 분류
절단: 대부분 정형외과적인 이유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므로 팔과 다리 그리고 오른쪽, 왼쪽 어떤 부위에 이상이 있는가에 따라 분류합니다.
척수장애: 목뼈(경추), 가슴뼈(흉추), 허리뼈(요추), 골반뼈(미추) 등의 몇 번째 마디에 이상이 있는가에 따라 분류합니다.
뇌성마비: 근육수축의 형태에 따라 경직형(Spastic)과 무정위 운동증(Athetoid)으로 크게 분류합니다.
이 중에서도 절단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절단 (Amputations)
절단이란 사지 중의 한 부분이나 모든 부분이 손실(loss)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선천성 절단과 후천성 절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절단의 원인은 사지의 외상 즉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 총상 등 그리고 열상, 화학적 화상, 감전, 동상, 당뇨병, 동맥경화증, 말초혈관질환, 종양, 감염, 선천적인 기형 등 다양하게 나뉘어집니다.
선천성 절단: 팔이나 다리가 전체적으로 없는 것과 팔이나 다리의 일부분 혹은 중간 부분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후천성 절단: 태어날 때는 정상이지만 살아가면서 질병, 종양, 산업재해, 전쟁 혹은 교통사고와 같은 재해로 사지가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절단된 경우를 말합니다.
지체장애인을 향한 올바른 배려
“지체장애인은 체육할동을 하지 못할 것이다.”
지체장애인 역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체육활동을 즐기고 싶어합니다. 팔과 다리 등 몸의 불편한 부분을 사용하지 않고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육활동은 많습니다.
장애인에 대한 진정한 배려는 몸을 쓰는 활동에서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활동을 함께 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장애의 차별을 낳는 배려보다는 장애인이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돕는 진정한 배려가 필요합니다.어려움에 처한 장애인을 돕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모든 장애인이 무조건적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약자는 아닙니다. 손길을 내밀기 전에 도움이 필요한지 먼저 물어보아야 합니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 처리하려는 의지는 장애인 역시 비장애인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보장구는 장애인의 손과 발이나 다름없는 물건입니다. 그래서 장애인에게 보장구는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신체의 일부와 같습니다. 결국 보장구를 함부로 만지는 행동은 상대방의 몸을 허락 없이 만지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지체장애인과 만날 때 주의해야 할 것
지체장애인과의 만남 시 접근성을 고려한 약속장소를 잡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을 만날 때는 계단이나 턱 등 장애물이 있는 장소는 피해야 합니다. 장애인과 함께 이동할 때는 출구의 문을 열어두거나 잡아주는 배려가 필요합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타는 경우 장애인이 엘리베이터를 탈 때까지 문을 잡아주어야 합니다. 문을 닫을 때는 보장구가 엘리베이터 문에 끼지 않았는지 살핀 후 닫아야 합니다.'특수체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성마비에 대해 알아보자: 운동패턴과 침범범위에 따른 분류 (0) 2020.05.12 척수장애의 상해 부위에 따른 분류 그리고 운동기능 (0) 2020.04.22 시각장애인에 관한 오해 그리고 이들을 위한 배려와 에티켓 (0) 2020.04.13 시각장애의 원인과 분류 그리고 시각장애인의 특성 (0) 2020.04.07 시각장애 등급 분류: 일반적인 기준과 스포츠활동에서의 분류 (0) 202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