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준비된 수업'을 위해서는 '준비된 발문'이 필요하다.교직실무 2020. 3. 30. 23:43
교사의 신념은 수업방식에 아주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자 여기에 "수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수업이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1970년대 이후 교과중심 수업에서 학생중심수업으로 교육은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을 고려해보았을 때, 위와 같은 질문에 '생각을 키우는 시간'이라고 대답하는 것은 어떨까요? 교사는 교과중심수업에서 벗어나 관계중심수업, 창조적 수업, 학습자 배움중심 수업, 학생중심수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오늘은 수업 중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준비된 수업'을 할 수 있을지, 학생과의 관계는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오늘 이 시간을 통해 수업에서의 발문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발..
-
혁신학교의 등장배경과 필요성: 창의지성교육과 배움중심수업교직실무 2020. 3. 30. 23:10
오늘은 혁신학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혁신학교의 중점이 되는 '창의지성교육'과 '배움중심수업'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혁신학교의 이해 혁신학교란 민주적 자치공동체와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의한 창의지성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혁신의 모델학교입니다. 혁신학교는 우리 공교육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개혁적 교육모델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혁신적 교육운동이자 사회운동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혁신교육은 집단지성과 협력적 발전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함께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는 평화지향적 인재들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혁신학교란 미래지향적인 선진 교육의 Pilot School입니다. - 배움과 성장이 있는 행복한 학교 - 학교혁신의 모델 학교 -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교육 혁신학교에 대해..
-
교수학습 경험의 계획(수업계획 시 고려사항)교과교수법(체육) 2020. 3. 28. 01:33
수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수업계획이 아주 중요합니다. 특히 학생들에게 어떤 수업 경험을 줄 것인지에 대해 교사는 많이 고민해야겠죠! 수업목표 달성을 하기 위해서는 목표성취를 위한 계획과 과정의 평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수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이유는 대개 장, 단기적 계획의 부재때문입니다. 성공적인 수업을 위하여~! 오늘은 학습경험의 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수업목표 달성을 하기 위해서는 계획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계획이란 목표달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는 것을 말하고, 평가란 목표달성의 정도와 절차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계획과 평가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학습목표: (What? How?) 오늘 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
-
교육평가의 유형과 분류교육평가 2020. 3. 27. 00:21
오늘은 교육평가의 의미와 이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교육평가와 관련된 개념을 교육평가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교육평가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육평가의 의미 1) 교육평가의 의미 교육평가란 학습자의 학습과 행동 발달정도(학생의 특성)를 교육의 목표(평가 기준)에 비추어 측정하고 판단하는 일입니다. 1990년대 이전까지 교육평가는 학생들의 지적 및 정의적 성취를 측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교육평가를 학생의 교육성취평가와 동일시하기는 어렵습니다. 최근 20년 사이 교사평가, 강의평가, 교육과정평가, 학교평가, 교육청 평가 등 학생 평가 이외의 다양한 평가들이 중요한 평가활동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기존의 평가의 의미도 폭이 넓어졌습니다...
-
지적장애의 정의와 특징, 판단기준과 분류기준특수체육 2020. 3. 25. 23:46
장애영역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지체장애: 팔 다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절단, 마비 등) 둘째, 지적장애: 정신 분열, 히스테리 등의 증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큐 지능이 떨어져서 이해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셋째, 시각장애: 눈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점맹)와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나, 약간밖에 보이지 않는 경우(약시, 저시력)가 있습니다. 넷째, 청각장애: 귀가 들리지 않는 경우(농안) 오늘은 이중에서도 지적장애(Mental Retardation) 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적장애는 인지적인 능력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사회활동이 불가능한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천치, 백치, 지능지체, 지능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었습니다...
-
장애인스포츠의 여러 형태와 원칙특수체육 2020. 3. 24. 18:40
비장애인들에게 신체활동의 의미가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이라면 장애인들에게는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그리고 퇴화방지가 포함됩니다. 장애인 체육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고 즐기며 땀 흘리는 스포츠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 휠체어농구팀과 비장애인 휠체어농구팀이 함께 시합하고 즐기며 스포츠를 통해 벽을 허무는 모습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휠체어를 스포츠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장애인체육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특수체육의 개념 '특수체육’은 특수한 체육이 아닙니다. 특수체육 은 일반인이 수행하는 체육을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의 형태 장애인체육의 내용은 장애 대상과..
-
2015개정 교육과정교직실무 2020. 3. 22. 14:17
교육과정의 기본질문은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만나 교육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입니다.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교육과정 왜 그것을 가르치고 배우는가?: 교육목표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교수학습 제대로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가?: 교육평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중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인재 양성 2. 학습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 구현 그리고 2015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다음과 같은 6가지 역량을 개발하도록 기대합니다.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심미적감성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
교육목표와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불가분의 관계교육평가 2020. 3. 22. 00:04
이번 글에서는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교육목적(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평가(수단) 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간의 관계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1) '교육'에 대한 정의 어원에 따른 교육의 정의 (이것에 따라 교육의 초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희랍어로 교육을 Pedagogy: 어린이를 이끈다, 어린이에게 방향을 제시한다. 라틴어로 교육을 Education: 안에 있는 잠재적 특성을 밖으로 꺼낸다. 그 밖에도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가 있습니다. 뒤르껨(Durkhem): 교육은 아동을 사회화시키는 활동 칸트(Kant): 교육의 목적은 개인의 능력을 가능한 한 완전하게 개발하는 것 정범모: 교육은 인간행동 특성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모두 인간이 지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