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육프로그램 평가를 살펴보자: 수업평가, 교사평가, 교육과정평가, 학교및교육기관평가, 교육환경평가, 교육정책평가
    교육평가 2020. 6. 7. 14:06

     우리는 지금까지 교육평가에서 학생평가를 중점적으로 공부를 해왔습니다. 오늘은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육프로그램 평가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의미

    - 학생이 아닌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

     예) 한 학기 동안의 국어 수업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그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기존의 방식으로 계속 시행할 것인지, 기존의 것을 폐기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하는 것

    - 교육프로그램을 교육과 관련되는 특정목적, 혹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이면서도 체계적인 활동이라고 사용한 경우, 해당되는 유형수업평가, 교육과정평가, 교사평가, 학교 및 교육기관 평가, 교육환경평가, 교육정책평가가 있습니다.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1. 수업평가

    •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 즉 교수역량을 파악하여 그것을 개선, 발전시키기 위한 평가
    • 수업이 교사의 주요 업무인 교과지도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평가입니다.
    • 교사가 교과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을 이론적 교수역량과 실천적 교수역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론적 교수역량의 구성요인

     교사가 성공적으로 교과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이해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여러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

    2) 실천적 교수역량의 구성요인

     실제 교수 상황에서 교사가 교과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수행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르치는 내용과 교실활동을 계획하고 학생과 상호작용하고, 교수학습 상황을 조정하는 능력 등이다.

     

    2. 교육과정 평가

    •  특정교육프로그램(교육과정) 교육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 그리고 교육내용 조직과 운영의 합리성과 전문성 등을 평가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단위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특정 교과나 교육내용과 관련된 학습프로그램 등이 모두 평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1) 평가 준비단계

    • 자체평가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구체적인 평가일정 및 평가영역을 확정하고 이를 교사에게 공지
    • 확정된 평가 일정 및 평가영역을 고려하여 학교 내에서 가장 적절한 교사들을 선정하여 교육과정평가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평가 실시단계

    • 위원회가 주관하되, 다른 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체평가를 실시합니다.
    • 각 분야의 장단점 및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 개선방안을 마련합니다.
    • 마지막에는 자체평가보고서를 작성합니다.

    3) 평가결과 활용단계

    • 자체평가보고서를 교사 및 학생, 학부모에게 공개하여 자기반성의 기회를 제고합니다.
    • 자체평가가 직간접적인 교사의 연수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합니다.

     

    3. 교사평가

    • 일반 교사 및 교감, 교장의 관리자 교사도 평가대상입니다.
    • 특정 교사의 자질이나 교수능력 등을 평가
    • 평가결과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지급하거나, 승진을 위한 인사고과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교사평가: 정성평가

     

    교사평가: 정량평가

     

     

    4. 학교 및 교육기관 평가

    • 초중고등학교나 대학, 시도교육청과 같은 교육기관들을 대상으로 평가
    • 학교 및 교육기관 경영의 자율성 신장에 따른 책무성 증가를 위해 또는 각종 교육활동이나 관리 및 경영활동에 대한 정보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평가
    • 예컨대 시도교육청에서 관할 초중고등학교를 평가하거나 교육부에서 시도교육청을 평가하는 것이 해당합니다.
    • 평가영역은 학교의 교육목표 및 계획, 교과 교육활동, 교과 외 교육활동, 교육 지원활동, 성취도 및 만족도 등이 포함됩니다.

     

    5. 교육환경평가

    • 교육여건이나 교육환경에 대해 평가
    • 좁게는 학교교실이나 실험실, 도서관 등의 시설이나 설비 등을 평가하는 것에서부터 넓게는 특정 주거지역의 교육여건이나 교육환경을 평가

     

    6. 교육정책평가

    • 교육청이나 교육부의 특정 교육정책에 대해 평가
    • 교육정책이란 교육당국이 특정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정치적인 과정을 거쳐 결정한 방법이나 행동지침입니다.
    • 일례로 대학구조개혁평가나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같은 정책평가가 있습니다.

     

     

     

    # 유의미한 교사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한 고민

     먼저 저는 '평가'라는 것이 평가주체가 평가대상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가능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교사가 학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생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동료교사가 교사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해당 교사에 대한 이해가 충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평가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사에 대한 우대감에 바탕을 두어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은 평가주체가 평가대상(교사)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사가 학교 업무에 충실하고 수업을 성실히 준비하는지에 대해 학생은 '수업'을 통해서 그것들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학부모와 동료교사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지 않는 한 잘 모를 수도 있겠죠. 이렇게 교사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교사를 평가하려니 우대감이나 형식적으로 평가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평가'를 해야 한다면, 평가주체가 평가대상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3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평가주체와 평가대상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사와 학생은 '수업'을 매개로 상호작용을 하고, 동료교사끼리는 '연구수업'을 매개로 할 수 있습니다. 교사와 학부모는 교사가 학부모에게 자녀의 학교생활, 성적 등의 정보를 꾸준히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입니다.

     교사평가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탐색해보아야 하고, 이를 통해 평가주체는 교사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게 되며, 교사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친구 답변 보기

    답장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