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의 수행평가교육평가 2020. 5. 8. 23:30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날이 갈수록 수행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0년 전에도 수행평가는 실시되어 왔었는데, 도대체 지금 교육에서 특히나 수행평가가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기존의 수행평가에 대한 반성, 그리고 기존 평가방법들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답니다. 오늘은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 수행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행평가로의 패러다임 변화
※ 학습결과의 평가 →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변화
평가의 유형 평가의 목적 판단의 기준 평가의 주체 학습결과의 평가
(Assessment of Learning)배치, 진급, 자격부여 등의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 다른 학생과의 상대적 비교, 성취기준 교사 학습을 위한 평가
(Assessmant for Learning)교사의 교수적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 성취기준 교사 학습으로서의 평가
(Assessment as Learning)학생의 자기 점검, 자기 평가를 위한 정보 제공 학생 개별 목표와 성취기준 학생 교수·학습과 평가의 관계
과거
- 평가는 교수·학습이 끝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
- 평가의 시행 빈도에 제한
- 정해진 날짜, 정해진 시간에 지필평가에 초점
- 주안점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성적 산출
새로운 패러다임
-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
- 수시평가, 형성평가, 과정평가, 수행평가
-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평가
- 주안점은 학생을 진단하고, 피드백을 제공
2. 과정중심 수행평가
본래 수행평가는 '과정중심'을 함의합니다. 그러나 이를 더 강조하기 위해 수행평가를 '과정중심 수행평가'라 말하기도 합니다.
수행평가와 관련한 이슈
사실 수행평가는 지난 20년 동안 시행해왔었습니다. 그런데 왜 지금 와서 다시 수행평가가 강조되고 있는 것일까요?
이는 놓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수행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에 대해서 의미있는 정보를 더 많이 알아내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수행평가가 실시되면서도 이러한 기능이 실행되지 않았던 것입니다.그러나 과연 수행평가가 만능 열쇠일까요?
수행평가가 위와 같은 기능을 다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성취기준 선별과 적절한 방식의 수행평가가 중요합니다.수행평가를 시행하면서 얻는 것과 감수해야 하는 것
수행평가는 학생에 대한 더 많은 정보 수집과 보다 가치 있는 피드백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학생 입장에서도 중요한 자기성장의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구개발과 시행, 채점 등 지필평가보다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수행평가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평가적 판단에 대한 학생,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능력입니다.
>> 채점 신뢰도 확보의 열쇠이러한 모든 불편한 것을 감수하고 수행평가를 하고자 한다면 최소한 지필평가보다 더 많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3. 수행평가의 개념
- 수행평가는 학습자관과 학습관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
-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구성주의)로의 변화
- 학습이나 습득의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관점
- 학습의 과정을 관찰, 진단, 판단하는 것은 교사전문성의 영역(단순히 선택형 문항으로 판단이 불가능한 영역)
과정중심 수행평가 =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
'수업과 연계한 평가'란 과거의 평가가 수업(학습)이 끝난 후에 학습 결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던 것과 달리, 수업 중에 형성평가나 수행평가를 시행하여, 학생의 학습을 점검하고 지원할 수 있는 평가입니다.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 또한 수행평가를 수업 중에 시행하여 학생의 수행 과정을 평가함으로써, 평가가 학습의 일환이자 학습의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수행평가 과제(문항)의 특징
일반적으로 수행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제유형 또는 평가방법으로는 서술·논술, 구술, 토론·토의, 프로젝트, 실험·실습, 포트폴리오, 자기평가·동료평가 등이 있습니다.
수행평가 과제 유형이나 평가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선택한 과제 유형이나 평가 방법이 해당 수행평가와 연계된 성취기준의 숙달 여부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고등 사고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취기준 분석과 평가계획 수립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각 성취기준이 의도하는 평가요소를 파악한 다음, 해당 성취기준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행평가 방법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해야 합니다.
교수학습과정과 통합된 수행평가체제
수업의 과정 = 질문 + 응답의 조합 = 단계적 수행과제 제시와 피드백 능력
Gagne's 9 Steps of Instruction
주의환기 - 목표제시 - 전시상기 - 자료제시 - 안내활동 - 실제수행 - 피드백 - 성취평가 - 파지전이'교육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중심 수행평가에서 권장되는 채점방법은 무엇일까?: 분석적 채점, 복수 채점, 채점 주체의 확대(자기평가와 동료평가) (0) 2020.05.17 과정중심 수행평가 문항구조 확장하기 (0) 2020.05.16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문항 개발 절차 및 유의사항 (0) 2020.04.24 평가 계획과정과 작성방법 및 유의점 그리고 지필평가문항의 유형 (0) 2020.04.17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의 비교 (0)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