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장애인스포츠의 여러 형태와 원칙
    특수체육 2020. 3. 24. 18:40

     비장애인들에게 신체활동의 의미가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이라면 장애인에게는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그리고 퇴화방지가 포함됩니다. 장애인 체육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고 즐기며 땀 흘리는 스포츠 활동입니다예를 들어 장애인 휠체어농구팀과 비장애인 휠체어농구팀이 함께 시합하고 즐기며 스포츠를 통해 벽을 허무는 모습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휠체어를 스포츠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장애인체육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특수체육의 개념

     '특수체육’특수한 체육이 아닙니다. 특수체육 은 일반인이 수행하는 체육을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의 형태

    장애인체육의 내용은 장애 대상장애유형 그리고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장애인의 신체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조하는 '의료 체육이며,
    둘째는 장애인들에게 특수한 체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수한 체육이며,
    셋째는 장애인들에게 일반인들이 수행하는 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규정을 변형하는 '적응체육'입니다.

     '보치아'처럼 특정한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체육프로그램을 특수한 체육이라고 합니다. 비장애인이 참여할 경우 프로그램의 난이도는 높지만 신체활동이 미약하여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애인에게 안전성과 흥미를 보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됩니다
     장애 정도가 비슷한 대상자들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교사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부담이 적으므로 특수학교나, 병원, 요양원, 특수시설의 피트니스장 등 특정한 대상자들이 모이는 곳에서 주로 실행되어 왔습니다.
    특수한 체육의 단점은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새로운 형식의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정한 장애인을 위해 만드는 프로그램에는 다른 영역의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장애인의 신체적 운동능력향상에 목표를 두고 실행되어 왔기 때문에 장애인의 신체적 발달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특정한 영역의 장애인만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비장애인의 참여가 어려워지며, 비장애인의 참여가 저조한 프로그램은 사회적으로 격리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고, 이는 함께하는 스포츠정신에 다소 위배될 수 있습니다.

     

    적응체육

     적응체육을 영자로 표기하면 Adapted Physical Education입니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는 용어'특수체육'이고, '적응체육'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적응체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비장애인들이 수행하는 체육프로그램을 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변형한다는 것입니다. 적응체육의 목표(mission)는 “장애인들의 삶의 질(quality)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적응체육은 장애인들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도 함께 가능합니다. 여기서 적응체육의 목표가 드러나는데요, 보다 많은 장애인이 학교나 복지시설, 요양원과 같은 폐쇄된 장소로부터 지역사회와 같은 개방된 장소로 생활권을 옮겨 비장애인과 함께 생활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수학교나 복지시설, 요양원에서 수행하는 장애인체육프로그램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특수체육의 원칙

    첫 번째 특수체육의 방법론: 프로그램을 일반인과 함께 해야 한다는 '통합의 원칙'(integration)
    두 번째 방법론: 비장애인이 사용하는 규정을 최대한 적용한다는'정상화의 원칙' (normalization)
    세 번째 방법론: 일반인들이 최근에 참여하는 운동종목을 선택한다는 주류화의 원칙' (mainstreaming)

     적응체육은 개개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특수한 체육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특수한 체육은 목표가 운동기능향상에 있으므로 일반인이 참여하는 체육프로그램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폐쇄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특수한 체육은 특수학교의 체육프로그램을 지칭하는 대명사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적응체육은 그 목표가 운동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적응체육은 운동기능향상이나 교육적인 효과보다는 장애인에게 가장 요구되는 재활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적응체육의 목적은 장애인의 참여와 경험, 그리고 비장애인과의 유대강화를 도모하자는 데 있습니다.

     

     

    장애인만을 위한 체육

    장애인을 위해 시행되는 체육프로그램 가운데 '장애인만을 위하여 개발되고, 시행되는 체육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골볼(시각장애인)이나 보치아(뇌성마비인)와 같이 특정한 장애인만을 위하여 개발된 체육프로그램 입니다.

    그 중에서도 골볼(goalball)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골볼은 시각장애인들이 동등하게 눈을 가리고 B1, B2, B3 모든 등급의 선수들이 참여할 수 있는 종목으로서 시각장애인들만 참여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1946년 세계2차 대전에서 실명한 퇴역 군인들의 재활을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소리가 발생되는 공을 이용해 상대팀 골대에 볼을 넣는 경기이며, 최대한 공의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하며 공격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볼의 무게는 1.25kg이며 거친표면의 탄력 있는 고무 재질입니다. 볼 속에 들어있는 방울이 8개의 구멍을 통해 소리를 냅니다. 직사각형 경기장의 모든 표시는 손으로 만져서 알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입니다.
     선수들은 검은 시트지를 덧댄 스키고글 눈가리개 착용으로 시각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없앱니다.

     골볼은 1986년 제 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그 다음해인 1987년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골볼에서 다음과 같은 역사가 있습니다.
    1996년 애틀란타 장애인 올림픽대회출전권 획득
    2002년 부산 아.태 경기대회 참여 남녀 동반 우승
    2018년 인도네시아 장애인 아시안게임 동메달

    한편 2019년 충남이 전국 최초로 남녀 골볼 실업팀을 창단하였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