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다운증후군의 외관적 특징과 성격, 그리고 운동능력
    특수체육 2020. 3. 31. 13:42

    오늘은 지적장애 영역에 속하는 다운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운증후군 지적장애 발달장애

     다운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지적장애의 범위에 속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지체장애의 영역과도 중복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운증후군의 일부는 경추 부위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지적장애에 관하여 설명 하였지만 지적장애의 범주도 최근에는 상위 개념으로 보면 뇌성마비, 뇌졸중과 더불어 발달장애 영역으로 볼 수가 있고, 큰 범주에서 보면 다운증후군도 지적장애 영역에 속하면서 발달장애의 영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장애인들은 장애영역에 따라 특성이 있지만 대개는 중복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를 우리는 일반적으로 중복장애라고 표현합니다.

     

    다운증후군의 정의

     다운증후군은 정신지체를 유발하는 유전적인 조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1866년 존 랭돈다운(Langdon Down)이 발견하였습니. 인간은 총 23개의 염색채가 쌍을 이루고 있는데, 다운증후군은 21번째 염색체 배열이 한 쌍 즉, 2개가 아니고 3인 것입니. 이러한 증상은 외향적으로 보면 서양인의 모습이 흡사 동양인 같다고 하여 몽골리즘(Mongolism)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식명칭은 발견자의 이름을 붙여 다운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성

    • 근육의 탄련성이 부족하여 관절이 과신전되는 현상이 보인다.
      (다운증후군은 유연성이 좋은 경향이 있으나 이는 운동능력이 좋기 때문이기보다는 근육의 탄력이 적기 때문입니다.)
    • 머리 크기가 일반 아이들에 비해 작은 편이다.
    • 머리의 뒷부분이 납작하고, 얼굴이 둥근 편이다.
    • 가 납작하고 작은 편이다.
    • 귀 끝은 접혀있는 경우가 많다.
    • 쌍꺼풀이 두껍고 눈 끝은 위로 치켜 올라가 있으며 눈주름이 많은 편이다.
    • 은 작은 편이지만 상대적으로 입천장이 낮아 혀가 크게 돋보이며 수시로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이다.
    • 시력이 나쁜 경우가 많다. 난시와 사시가 많이 나타남
    • 신장이 작고, 마디가 짧다.
    • 체지방이 많아 어깨와 목이 둥글게 보인다.
    • 대체로 과체중이며 근력, 근지구력, 심폐능력, 협응력이 낮은 편이다.
    • 치아가 나오는 시기가 늦기도 하는데, 구강위생을 잘 지켜도 잇몸이 붓는다. 이로 인해 치아를 종종 잃기도 한다. 

      다운증후군의 일부는 청각장애와 정신지체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선천성 난청 혹은 중이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다운증후군은 출생 시 선천성 심장질환의 예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치매가 일찍 올 수 있으며, 시기는 빠르면 50세 전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운증후군의 특징적인 외형적 모습

     

     

    성격과 운동능력

     일반적인 활동과 운동 시 근육의 수축력이 약하기 때문에 관절의 가동 범위가 크게 나타나며, 유연성은 좋아 보이지만 수축력이 적어 무리한 운동을 할 때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성격은 일반적으로 온순한 편이며, 친구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흥미있는 부분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는데, 때로는 이러한 고집이 (자신의 욕구가 만족되지 않을 때) 수업을 하지 않는다거나 단체 생활에서 이탈하는 등의 경우로 나타납니다.
     순수하고 하찮은 일에 즐거워하며, 시키는 일들을 잘 하는 편이고 애정, 격려, 그리고 칭찬에 적극적인 반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그들이 노력하는 행동에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면 사기가 올라가고 교육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습니다.

     

    기타 증상

     갑상선 질환 같은 내분비 질환과, 앞서 얘기했던 치과 문제가 있을 수가 있고 면역기능의 이상으로 폐렴과 같은 감염과, 자가 면역 질환이 올 수 있습니다.
     개인의 차이가 크고 환경과 상황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들의 신중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장애인올림픽, 스페셜 올림픽

    지적장애인 협회는 현재 대한 장애인체육회 산하 단체에 가입이 되어있고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합니다. 지적장애인들은 그 외에도 그들만의 모임(대회)스페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스페셜 올림픽은 대한 장애인체육회가 결성되기 이전부터 지적장애인들만의 국제적인 친목 스포츠 단체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스페셜 올림픽(Special Olympic)

    스페셜 올림픽은 일반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4년에 한 번씩 개최하며, 최근에도 아랍에미리트의 아비다드에서 190개국의 7500명이 참가하여 경기를 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지적장애인 협회에서도 현재는 대한장애인체육회 산하 단체로서 국내 지적장애인대회와 장애인올림픽, 스페셜 올림픽에도 참가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