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시각장애 등급 분류: 일반적인 기준과 스포츠활동에서의 분류
    특수체육 2020. 4. 2. 12:08

    이번 시간에는 일반적인 기준에 의한 시각장애 등급분류스포츠 활동적인 등급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각장애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요?

     

    시각장애의 정의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의 정의는 의학, 교육, 스포츠 활동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있으나 보통 안구, 시신경 및 대뇌중추 등의 시각 기관 중 손상이 있어, 보는 것이 부자유스럽거나 불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기준에 의한 등급 분류

    1. 약시 (두 눈의 교정시력이 0.04-0.08 사이)
     
    넓은 의미에서 저시력에 포함될 수 있으나 모든 약시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대개 저시력은 약시와 같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특정의 광학기구, 학습매체 또는 설비를 통해서만 시각적 과제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저시력과 약시
     저시력은 세 분류 중 약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저시력이란 충분한 시력교정 이후에도 시야 범위가 20도 이내의 경우인 것을 말합니다. 이들은 교정치료를 하여도 생활에 불편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시각장애영역에 해당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뇌의 이상으로 인해 시야 장애(저시력)가 생겼을 때, 재활이 중요한 이유는 잔존 시력이나 시야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2. 준맹 (두 눈의 교정시력이 0.020.04 미만인 경우)

    3.(전맹) (두 눈의 교정시력이 0.02이하인 경우)
     이들은 점자로만 읽기를 배워야 하고, 사물을 전혀 판단하지 못합니다.

     

    스포츠 활동에 의한 분류 (스포츠활동적인 등급분류)

     장애인스포츠경기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확한 등급분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국내경기든, 국제경기든 마찬가지입니다. 등급분류의 목적은 선수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장애 영역별로 판단기준이나 적용방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지체장애스포츠의 경우, 양팔과 양다리의 절단, 마비 정도에 따라 LW1부터 LW12까지 분류합니다.

    시각장애 스포츠에서는 시력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합니다.

    B3 : 시력이 0.03 이상.
    B2 : 시력이 0.03미만.
    B1 : 빛을 전혀 감지할 수 없는 전맹.

     

    의학적인 측면으로는 법정 맹, 이동시력, 움직임 지각, 광선 지각, 전맹 등으로 분류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