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
-
2015개정 교육과정교직실무 2020. 3. 22. 14:17
교육과정의 기본질문은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만나 교육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입니다.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교육과정 왜 그것을 가르치고 배우는가?: 교육목표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교수학습 제대로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가?: 교육평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중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인재 양성 2. 학습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 구현 그리고 2015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다음과 같은 6가지 역량을 개발하도록 기대합니다.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심미적감성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
교육목표와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불가분의 관계교육평가 2020. 3. 22. 00:04
이번 글에서는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교육목적(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평가(수단) 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간의 관계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1) '교육'에 대한 정의 어원에 따른 교육의 정의 (이것에 따라 교육의 초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희랍어로 교육을 Pedagogy: 어린이를 이끈다, 어린이에게 방향을 제시한다. 라틴어로 교육을 Education: 안에 있는 잠재적 특성을 밖으로 꺼낸다. 그 밖에도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가 있습니다. 뒤르껨(Durkhem): 교육은 아동을 사회화시키는 활동 칸트(Kant): 교육의 목적은 개인의 능력을 가능한 한 완전하게 개발하는 것 정범모: 교육은 인간행동 특성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모두 인간이 지니고..
-
체육교수의 이해: 학습경험의 선정기준과 교수기능교과교수법(체육) 2020. 3. 21. 14:05
체육교수의 이해 1. 교수(teaching)의 중요성 교수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관점에 따라 수업을 바라보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교사가 교수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가르치는 행위가 달라진다.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책임은 교사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학적 목적, 학습자에 관한 지식, 수업내용, 교수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경험을 계획하여 지도해야 합니다: PCK(수업지식/내용교수지식)의 중요성 2. 수업은 뚜렷한 학습목표와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교수학습이란, 교사와 학생의 의도된 활동이며, 학습목표달성에 필요한 학습환경을 조성한다는 의미입니다. 교사는 적절한 학습목표에 적합한 교수학습과정을 수업에 선택 및 적용할 수 있어야 합..
-
블로그의 시작, 소개(4학년 1학기)카테고리 없음 2020. 3. 15. 17:44
안녕하세요. '교육학'과 '체육학 전공'을 공부하는 신지냥입니다. 내일이면 제가 다니는 경희대학교가 개강을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개강이 2주나 연기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개강 이후 2주 동안은 수업이 온라인 강의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직접 강의실에 가서 강의를 듣는 것은 30일부터라고 공지되어 있지만, 사실 코로나19의 상황을 추후에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학교에는 수많은 학생들이 모이는 곳이므로 안일하게 생각했다가는 전염병이 크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가 얼른 잠잠해져서 모두 마스크를 벗고 학교를 다니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이번 학기 제 시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적을 위한 공부가 아닌 지식 습득을 위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4학년이 된 지금에서야 좀 더 뼈저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