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평가
-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의 비교교육평가 2020. 4. 10. 22:47
오늘은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세 가지는 평가목적에 따라 나뉘어지는 학생평가의 유형들입니다. 1. 진단평가 진단평가란 학생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수업목표의 진술과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자료의 준비를 돕는 평가입니다. 즉 실질적인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자의 수준을 확인하고 수업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교수자료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진단평가의 교육적 기능: 출발점행동의 이해와 진단 지적 출발점행동 : 지능과 언어능력과 같은 거의 모든 교과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지적능력, 독해력과 수리능력, 새롭게 투입될 특정 학습과제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선행학습 정의적 출발점행동 : 새로운 학습과제를 학습하려고 하는 시점 이전에 형성된 학생의..
-
학생평가의 의미와 변화: 학생평가는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교육평가 2020. 4. 3. 13:09
오늘은 학생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학생편가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과거와 비교해 학생평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그 모습에 담긴 학습평가에 내재된 대립적 가치기준,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강조되고 있는 수업과 연계된 학생평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학생평가의 의미 학생평가란 말그대로 학생을 평가하는 활동을 말하는데요, 교수학습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학습과정과 결과를 평가의 대상으로 삼고, 교육적 가치에 비추어 판단하는 활동입니다. 다시 말해, 교사가 교수학습의 효과 및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생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정의적, 신체적 영역의 성취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과정에 변화를 주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
-
교육평가의 유형과 분류교육평가 2020. 3. 27. 00:21
오늘은 교육평가의 의미와 이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교육평가와 관련된 개념을 교육평가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교육평가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육평가의 의미 1) 교육평가의 의미 교육평가란 학습자의 학습과 행동 발달정도(학생의 특성)를 교육의 목표(평가 기준)에 비추어 측정하고 판단하는 일입니다. 1990년대 이전까지 교육평가는 학생들의 지적 및 정의적 성취를 측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교육평가를 학생의 교육성취평가와 동일시하기는 어렵습니다. 최근 20년 사이 교사평가, 강의평가, 교육과정평가, 학교평가, 교육청 평가 등 학생 평가 이외의 다양한 평가들이 중요한 평가활동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기존의 평가의 의미도 폭이 넓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