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장애
-
척수장애의 상해 부위에 따른 분류 그리고 운동기능특수체육 2020. 4. 22. 21:57
오늘은 척수장애와 상해 부위에 따라 분류를 해보고 각각의 운동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의 일부이며 몸과 뇌 사이의 중추적인 정보 소통 경로입니다. 척수는 들어오는 정보를 통합하여 직접 명령을 내보내는 척수반사(spinal reflex) 조절을 합니다. 성인의 척수는 뇌의 아래(기저) 부위에서 시작하여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허리뼈(lumbar vertebra;요추골)까지 이어집니다. 그 아래는 말의 꼬리털 모양의 신경다발 묶음인 마미상 신경총(cauda equina)으로 끝까지 이어집니다. ▼ 척추 목뼈(경추) 가슴뼈(흉추) 허리뼈(요추) 엉치뼈 꼬리뼈 ▼ 척수신경 목신경 가슴신경 허리신경 엉치신경 꼬리신경 전체 척수는 31개의 분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분절은 ..
-
지체장애의 원인과 분류 그리고 올바른 배려특수체육 2020. 4. 20. 21:31
오늘은 지체장애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에게 올바른 배려란 무엇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체장애 지체장애의 정의 지체장애는 손, 발과 몸의 일부나 전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기능의 이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절단, 척수장애(spinal cord injuries), 뇌성마비(cerebral palsy) 등이 주로 많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골격, 근육, 신경계통에 질환이 생기거나 손상, 마비, 기능장애 등이 생겨서 신체의 이동과 움직임 등이 불편하거나 제한을 받게 됩니다. 지체장애는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 모두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지체장애를 선천적인 것이라는 잘못된 편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체장애인의 90%는 선천적 장애가 아닌 후천적 장애입니다. 즉 지체장애인의 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