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스포츠
-
휠체어농구에 대해 알아보자!특수체육 2020. 6. 2. 00:00
오늘의 주제는 휠체어 농구입니다. 휠체어 농구는 장애인스포츠에서 인기가 아주 좋은 종목입니다. 일반적으로 비장애인 올림픽에서 폐막식 직전에 대개 축구 결승전을 하고, 마라톤 주자가 들어오는 장면이 연출되고는 하는데, 패럴림픽에서는 마지막 날에 대개 휠체어농구를 합니다. 종목마다 휠체어는 그 종목의 맞도록 특색있게 제작됩니다. 휠체어농구의 휠체어의 앞부분은 둥그런 모양인데, 이를 범퍼(보호구)라고 하고, 이 범퍼 안 쪽에 발 부분이 들어가 다리(무릎)를 보호합니다. 범퍼는 상대방과 경기를 하다 충돌이 있을 때 상해를 방지합니다. 양쪽의 큰 바퀴의 모양이 기울어져 있는데, 이것은 휠체어의 안정성을 위한 것과 바퀴를 돌리는 양손이 상대방과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바퀴가 기울어지지 않고, 1..
-
시각장애 등급 분류: 일반적인 기준과 스포츠활동에서의 분류특수체육 2020. 4. 2. 12:08
이번 시간에는 일반적인 기준에 의한 시각장애 등급분류와 스포츠 활동적인 등급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각장애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요? 시각장애의 정의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의 정의는 의학, 교육, 스포츠 활동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있으나 보통 안구, 시신경 및 대뇌중추 등의 시각 기관 중 손상이 있어, 보는 것이 부자유스럽거나 불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기준에 의한 등급 분류 1. 약시 (두 눈의 교정시력이 0.04-0.08 사이) 넓은 의미에서 저시력에 포함될 수 있으나 모든 약시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대개 저시력은 약시와 같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특정의 광학기구, 학습매체 또는 설비를 통해서만 시각적 과제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저시력과 약시 저..
-
장애인스포츠의 여러 형태와 원칙특수체육 2020. 3. 24. 18:40
비장애인들에게 신체활동의 의미가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이라면 장애인들에게는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그리고 퇴화방지가 포함됩니다. 장애인 체육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고 즐기며 땀 흘리는 스포츠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 휠체어농구팀과 비장애인 휠체어농구팀이 함께 시합하고 즐기며 스포츠를 통해 벽을 허무는 모습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휠체어를 스포츠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장애인체육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특수체육의 개념 '특수체육’은 특수한 체육이 아닙니다. 특수체육 은 일반인이 수행하는 체육을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의 형태 장애인체육의 내용은 장애 대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