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
다운증후군의 외관적 특징과 성격, 그리고 운동능력특수체육 2020. 3. 31. 13:42
오늘은 지적장애 영역에 속하는 다운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운증후군 지적장애 발달장애 다운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지적장애의 범위에 속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지체장애의 영역과도 중복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운증후군의 일부는 경추 부위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지적장애에 관하여 설명 하였지만 지적장애의 범주도 최근에는 상위 개념으로 보면 뇌성마비, 뇌졸중과 더불어 발달장애 영역으로 볼 수가 있고, 큰 범주에서 보면 다운증후군도 지적장애 영역에 속하면서 발달장애의 영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장애인들은 장애영역에 따라 특성이 있지만 대개는 중복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를 우리는 일반적으로 중복장애라고 표현합니다. 다운증후군의 정의 다운증후군은 정신지체를 유발하는 유전적인..
-
지적장애의 정의와 특징, 판단기준과 분류기준특수체육 2020. 3. 25. 23:46
장애영역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지체장애: 팔 다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절단, 마비 등) 둘째, 지적장애: 정신 분열, 히스테리 등의 증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큐 지능이 떨어져서 이해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셋째, 시각장애: 눈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점맹)와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나, 약간밖에 보이지 않는 경우(약시, 저시력)가 있습니다. 넷째, 청각장애: 귀가 들리지 않는 경우(농안) 오늘은 이중에서도 지적장애(Mental Retardation) 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적장애는 인지적인 능력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사회활동이 불가능한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천치, 백치, 지능지체, 지능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었습니다...
-
장애인스포츠의 여러 형태와 원칙특수체육 2020. 3. 24. 18:40
비장애인들에게 신체활동의 의미가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이라면 장애인들에게는 건강의 유지, 증진, 기술향상 그리고 퇴화방지가 포함됩니다. 장애인 체육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고 즐기며 땀 흘리는 스포츠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 휠체어농구팀과 비장애인 휠체어농구팀이 함께 시합하고 즐기며 스포츠를 통해 벽을 허무는 모습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휠체어를 스포츠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장애인체육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특수체육의 개념 '특수체육’은 특수한 체육이 아닙니다. 특수체육 은 일반인이 수행하는 체육을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의 형태 장애인체육의 내용은 장애 대상과..
-
장애인을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동정 아닌 평등특수체육 2020. 3. 19. 10:23
우리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어떤 환경에 있어서도 교육의 기회는 균등하게 주어져야 합니다. 우리보다 교육적인 면, 생활여건이 앞서가고 있는 선진국에서는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을 위한 교육도 이미 오래전부터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이로써 장애인들도 자신이 개발 가능한 모든 분야를 개선하고 연구하여 각 분야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특수체육은 88 서울 패럴림픽 이후부터 많은 관심을 보여왔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정규대학과정에서 특수체육을 교과목으로 운영하고, 전공학과를 개설하였습니다. 교육에 앞서 장애인들을 바라보는 시각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한 관계를 알아봅시다. 장애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먼저 '장애인'과 '정상..
-
우리나라 본격적인 장애인스포츠의 출발: 88서울장애인올림픽특수체육 2020. 3. 17. 15:36
PARALYMPICS(장애인 올림픽)는 하반신 마비를 뜻하는 PARAPLOGIA의 접두어 PARA와 OLYMPICS의 어미 LYMPICS의 합성어입니다. 한국은 1968년 이스라엘 텔 아비브에서 개최된 제3회 장애인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올림픽은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981년 9월 30일 독일의 바덴바덴에서 한국이 제24회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된 이후, 국제 장애인 스포츠 조정위원회(ICC)와 국제 척수 장애인 경기연맹(ISMGF)의 장애인 올림픽 동시 개최 요구에 따라 88 서울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 동반 개최를 결정하면서 한국에 장애인 올림픽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습니다. 88 서울 올림픽이 있기 이전에는 일반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이 무관하게 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