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평가
-
과정중심 수행평가에서 권장되는 채점방법은 무엇일까?: 분석적 채점, 복수 채점, 채점 주체의 확대(자기평가와 동료평가)교육평가 2020. 5. 17. 12:58
오늘은 다양한 채점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에는 어떤 채점방식들이 권장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점방법 1) 채점 학생의 수행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해 일정한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과정으로, 수행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합니다. 2) 채점 방식 총체적 채점 vs 분석적 채점 총체적 채점 분석적 채점 - 평가 계획 단계에서 설정했던 평가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한 번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 - 단일한 점수 부여 - 학생의 반응을 평가요소별로 판단하여 각각에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합산하는 방식 장점: 모든 특성을 한 번에 고려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요약적인 채점이 가능하며, 채점이 쉽고 시간이 적게 듦. 장점1: 학생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하..
-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의 수행평가교육평가 2020. 5. 8. 23:30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날이 갈수록 수행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0년 전에도 수행평가는 실시되어 왔었는데, 도대체 지금 교육에서 특히나 수행평가가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기존의 수행평가에 대한 반성, 그리고 기존 평가방법들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답니다. 오늘은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 수행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행평가로의 패러다임 변화 ※ 학습결과의 평가 →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변화 평가의 유형 평가의 목적 판단의 기준 평가의 주체 학습결과의 평가 (Assessment of Learning) 배치, 진급, 자격부여 등의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 다른 학생과의 상대적 비교, 성취기준 교사 학습을 위한 평가 (Assessm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