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기준
-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의 수행평가교육평가 2020. 5. 8. 23:30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날이 갈수록 수행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0년 전에도 수행평가는 실시되어 왔었는데, 도대체 지금 교육에서 특히나 수행평가가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기존의 수행평가에 대한 반성, 그리고 기존 평가방법들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답니다. 오늘은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 수행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행평가로의 패러다임 변화 ※ 학습결과의 평가 →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변화 평가의 유형 평가의 목적 판단의 기준 평가의 주체 학습결과의 평가 (Assessment of Learning) 배치, 진급, 자격부여 등의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 다른 학생과의 상대적 비교, 성취기준 교사 학습을 위한 평가 (Assessmant ..
-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문항 개발 절차 및 유의사항교육평가 2020. 4. 24. 19:31
학생평가를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가 계획을 잘 세우는 것이 중요하고, 이에 따라 교사는 적절한 평가도구를 개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문항개발 절차를 예시를 들어 살펴보고, 각 평가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생평가의 절차 및 계획 학교에서 시행하는 학생평가의 대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취기준 분석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취기준 검토 해당 성취기준 중에서 반드시 가르치고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중요한 핵심 성취기준 추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에 적합한 성취기준 선정 2. 평가 계획 교과(과목)별 평가 계획은 각 교과협의회에서 정하고, 이를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최종 결정 평가 목적, 평가 방향, 기본 방침, ..
-
교육목표와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불가분의 관계교육평가 2020. 3. 22. 00:04
이번 글에서는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교육목적(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평가(수단) 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간의 관계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1) '교육'에 대한 정의 어원에 따른 교육의 정의 (이것에 따라 교육의 초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희랍어로 교육을 Pedagogy: 어린이를 이끈다, 어린이에게 방향을 제시한다. 라틴어로 교육을 Education: 안에 있는 잠재적 특성을 밖으로 꺼낸다. 그 밖에도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가 있습니다. 뒤르껨(Durkhem): 교육은 아동을 사회화시키는 활동 칸트(Kant): 교육의 목적은 개인의 능력을 가능한 한 완전하게 개발하는 것 정범모: 교육은 인간행동 특성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모두 인간이 지니고..